김연수의 <일곱 해의 마지막>을 읽었다. 이 장편소설은 한국전쟁 이후 러시아문학을 주로 번역하던 백석이 1956년 동시를 발표하며 다시 시작활동을 하다가 1962년 역시 동시를 발표하고 절필한 시기까지를 서정적 문체로 복원했다. 작품을 읽으며 백석이 자문했던 세 가지 질문이 내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첫 번째 질문. “나는 왜 시를 다시 쓰기 시작했을까?” 이 질문은 백석이 한동안 시를 쓰지 않았다는 뜻이다. 당의 선전선동에 동원되고 수령의 우상화에 이바지하는 시를 쓸 수는 없었다. 사람살이의 정겨움과 우리말의 아름다움이 깃든 “음식 이름들, 옛 지명들, 사투리들”의 시어는 박살나고 “미리 제작한 벽체를 올려 아파트를 건설하듯이 한정된 단어와 판에 박힌 표현만으로 쓰인” 사회주의 공화국의 시만 넘쳐났다.
그 새로운 시의 건설현장에 동원된다는 말은 한설야의 길을 걷는다는 뜻이다. 문학은 오로지 수령의 후광을 빛내는 데 필요할 뿐이다. 권력의 시녀로 언어가 타락하는 것을 기꺼이 받아들였다. 그래서 얻은 권력으로 빼어난 문인을 숙청했다. 문학의 영토에 꽂혔던 자유와 상상의 깃발은 꺾였다. 종파주의와 소부르주아적 근성을 박멸하자는 깃발이 세워졌다.
본디 시는 한낱 촛불일 뿐이다. 당과 수령의 말은 “준엄하고 매섭고 치밀하다”. 촛불이 어찌 권력의 눈보라를 이겨낼 수 있겠는가. 하지만 한 시인이 피워 올린 불꽃 덕에 “시의 언어는 먼 미래의 독자에게 옮겨 붙는” 법이다. 아마도 그래서 백석은 시를 다시 썼을 테다. 스탈린 격하운동이 일어나고 북한에도 해빙의 조짐이 보여서가 아니고.
두 번째 질문. “왜 그때 그들을 따라가지 않았나?” 백석은 월북도 아니요 납북도 아니다. 흔히 재북(在北) 작가라 말한다. 일제강점기 끝무렵에 만주에 있다가 해방되자 고향 정주로 내려왔다. 오산고등학교 교장 출신인 조만식의 통역비서를 맡은 데서 볼 수 있듯, 그리고 그의 시세계가 펼쳐 보이듯 북한체제와 맞지 않는 사람이다. 서울에서도 오랫동안 생활한지라 적절할 때 남하했다면, 전쟁 후 빈약한 남한 문단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왜 내려오지 않았을까? 거느린 식솔 때문에? 고향의 맛과 멋, 그리고 말 때문에? 시인다운 순진함 탓에 정세를 잘못 판단하여? 알 수 없는 노릇이다. 그저 안타까워할 도리밖에 없다.
세 번째 질문.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가?” 이 질문은 앞의 두 질문을 포함한다. 시는 생리적으로 평등보다 자유를, 이념보다 사랑을 더 중시하는 체제와 어울릴지 모른다. 그런데 백석은 다른 선택을 했다. 자고로 백석 같은 선택이 얼마나 비극적인 결과를 낳았는지는 20세기 세계문학사가 증명한다. 바스타치야. 전염병이 돌자 북한 당국은 이 예방법을 택했다. 소극적인 예방을 넘어 병인이 되는 외부환경 전체를 바꾼다는 뜻이다. 이 예방법은 하나의 은유였다. 잠깐의 해빙기가 지나자 당의 역공세가 펼쳐졌다. “사상교육을 통해 사람들의 생활습관을 바꿔 궁극적으로 환경 전체를 개조하는 일”이 벌어졌다. 그런데 백석은 시를 다시 썼고, 시정신을 훼손하는 권력에 맞서 “현실의 벅찬 한 면만을 구호로 외치며 흥분하여 낯을 붉히는 사람들의 시 이전의 상식을” 배격하고, “시는 깊어야 하며, 특이하여야 하며, 뜨거워야 하며 진실하여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백석은 이태준의 길을 갈 수밖에 없었다. 고백은 용납되지 않고 자백만 강요됐다. 쓰면 “낡은 미학적 잔재에 빠져 부르주아적 개인 취미로 흐른다”고 공격받고, 쓰지 않으면 수령을 싫어하는 감정을 품은 탓이라 매도당했다. 이태준이 함흥으로 쫓겨났듯 백석은 삼수갑산의 그 삼수로 가야 했다.
김연수는 백석이 삼수에서 시를 썼고, 시 쓴 종이를 찢어 난로에 집어던져 넣고 타오르는 불꽃을 바라보았으리라 상상했다. 활자로 찍혀 영원히 남는 시가 아니라, 불꽃이 되어 찰나 황홀경을 보이다 사그라드는 시. 소설 말미에 저절로 난 산불을 뜻하는 천불을 보고 백석이 화전민이 느꼈을 삶을 향한 뜨거움과 느꺼움에 공감하는 장면이 나온다. 불타버렸기에 다시 열리는 새로운 삶의 길. 더는 쓰지 않기에 영원히 읽힐 시. 백석이 꿈꾼 불의 시학을 상징하는 대목으로 읽었다.
<이권우 도서평론가·경희대 특임교수>
'대중문화 생각꺼리 > 이권우의 책과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자도생의 무간지옥에서 구원받는 법 (0) | 2020.06.30 |
---|---|
우리가 닮아야 할 진정한 지도자 (0) | 2020.06.02 |
고전에서 길어 올린 삶의 지혜 (0) | 2020.05.06 |
슬프고 외로운 우리 시대의 예수 (1) | 2020.04.07 |
재난 현장에서 피는 ‘연대의 꽃’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