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들어 문화예술계에 자행되는 검열과 배제의 사건들은 실로 전방위적이다. 2013년 9월부터 지금까지 대략 2년 동안 문화예술계에서 벌어진 검열과 배제의 사례들만 해도 20건이 넘는다.
2년의 기간임을 감안하면 월 1회 정도 예술 검열과 관련된 논란이 불거진 셈이다. 소위 ‘월간 검열’이란 잡지도 낼 수 있을 정도다.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 메가박스 개봉 중단, 박정희 유신 정권을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는 이유로 월간 ‘현대문학’이 이제하 등 소설가의 연재 중단,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큐영화 <다이빙 벨> 멀티플렉스 상영 거부, <다이빙 벨> 상영을 이유로 부산국제영화제 예산 삭감 의혹과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 제35회 서울연극제의 아르코 예술극장 사용대관 심의 탈락, 박근혜 정권을 패러디한 ‘경국지색’ 전단을 배포한 윤철면씨에 대한 자택 압수수색, 박근혜 대통령을 풍자한 그림을 살포한 이하 작가 연행, <모든 군인은 불쌍하다>를 연출한 박근형 교수의 ‘창작산실’ 사업 선정 작품 강제 제외, 한국문화예술위 산하 한국공연예술센터에서 세월호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연극 <이 아이> 공연 방해, 그리고 가장 최근에 국립국악원 ‘금요공감’ 프로그램에 출연한 ‘앙상블 시나위’의 <소월산천> 공연에서 박근형 연출가의 연극 부분 제외 요구.
이런 검열과 배제의 사례들은 대체로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 유형은 천안함, 세월호 등 시국사건이나 사회적 재난을 예술작품으로 재현하는 것에 대한 검열로 이는 이들 작품의 대중적 유포를 차단하려는 의도를 가진다. 둘째, 박근혜 대통령과 그의 부친 박정희를 비판하는 작품을 검열하는 것으로, 통치자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드는 일체의 행위에 대한 통제이다. 셋째, 현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활동에 참여한 예술가 개인과 단체들에 대한 검열로 각종 지원 사업에서 배제하거나 공공지원을 차단한다. 마지막으로는 정부·여당의 반대편에서 야당을 지지하는 예술가들에 대한 검열로 이는 예술의 진보적 가치에 대한 부정과 진보정치의 역사적 기억을 지워버리려는 의도를 갖는다. 전체적인 검열의 사례들을 분석했을 때, 시국사건이나 사회적 재난에 대한 표현물의 검열보다는 통치자 박근혜를 비판하고 풍자하는 표현물에 대한 검열이 더 많다. 이는 최근 검열이 전제군주적, 혹은 근대 파시즘적 성향이 강하다는 점을 알게 해준다. 어떤 예술가도 통치자의 심기를 불편하게 해서는 안된다.
한국작가회의 회원들이 정치 검열에 항의하는 성명서를 국회에 전달하고 있다._경향DB
검열의 방식 역시 매우 구체적이고 집요하다. 전시, 상영, 게재, 공연을 삭제하거나 강제로 중단시킨다. 작가 및 작품을 고소·고발하거나 체포하고, 배제하며, 예산을 삭감한다. 검열의 주체 역시 위계적이다. 국가권력의 통치성을 기획 조정하는 권력의 상층부에서 검열을 주도한 흔적이 엿보이며, 문화예술의 지원기구들 내부의 자체 검열도 만연돼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들은 스스로 검열의 주체가 되면서도 위로부터의 검열 요구를 충실히 따르는 대리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아니 통치자에 대한 충성경쟁으로 스스로 알아서 검열하려 든다.
예술가와 예술단체들의 자기검열도 심각하다. 공공지원을 받기 위해 검열이란 센서를 통과할 수 있는 작품을 기획한다든지, 참혹한 현실에 대한 비판과 표현들을 스스로 자제하려 든다. 예술계 내부의 자기검열은 결국 예술가들의 자존감을 무너뜨리고 그로 인한 정신의 무기력증에 대한 공황 상태 때문이다.
검열의 과잉으로 집약되는 지금 권력의 상징폭력은 어쩌면 자기 정체성의 실체가 드러날 것에 대한 공포심의 극단적인 반응일 수 있다. 통치자는 검열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정당화하고, 허구로 구성된 자기 정체성의 폭로의 두려움을 제거하려 든다.
그러니 검열로 인해 예술가가 두려워할 것은 아무것도 없다. 오히려 검열은 지금의 권력, 통치자 자신의 두려움을 심화시킨다. 검열은 통치자가 자기 정체성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국립국악원 사태에 맞서 당당하게 행동하는 안무가 정영두가 페이스북에 올린 자기 고백을 우리는 경청해야 한다. “제가 두려운 것은 없습니다. 제가 무언가 두려워할까봐 그것이 두려울 뿐입니다. 그래서 그들이 마침내 예술가들을 겁쟁이로 만드는 것이 두려울 뿐입니다.” 예술가가 두려워하면 지는 것이다. 예술가가 당당하면 오히려 통치자가 두려워할 것이다.
이동연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대중문화 생각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비평] 희망을 만드는 ‘연대’의 힘 (0) | 2015.11.17 |
---|---|
[기고]방송 콘텐츠 ‘독점 공급’ (0) | 2015.11.13 |
[아침을 열며] 광고 아닌 척하는 광고 (0) | 2015.11.08 |
[문화비평] 드라마에 ‘역사 각색’을 허용하라 (0) | 2015.11.03 |
‘육룡이 나르샤’와 역사의 퇴행 (0) | 2015.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