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모칼럼]광대의 파괴력, 대중가요의 힘
본문 바로가기

=====지난 칼럼보기=====/임진모 칼럼

[임진모칼럼]광대의 파괴력, 대중가요의 힘

임진모 | 대중문화평론가



지적이고 고매하며 부유한 사람들, 그 상류계층과 그 정서가 사회생활의 영역을 관리통치할지 몰라도 결코 지배력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는 분야가 있다. 대중음악이 그 중 하나로 가수, 연주자, 프로듀서, 엔지니어 중에는 학벌이든 경제력이든 고급 아닌 중하급이 널려 있다. 우아하고 잘난 계급의 정서는커녕 속물과도 같은 하류인생의 표현 정서가 흥행대박을 터뜨린 역사적 사례는 즐비하다.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역설적이다. 뮤직비디오에서 그는 정장에다 선글라스를 끼고 잔뜩 멋을 내고 있지만 누가 봐도 품위와 격조가 없다. A급이 아니라 뭔가 낮고 부족하고 망가진 것 같은 B급이다. 광대요, 피에로다. 가슴보다 사상이 울퉁불퉁하다며 ‘한국의 베벌리 힐스’ 강남 소속임을 떠들어대지만 말춤을 추고 훤칠한 출연자들에 끼어 있는 모습은 조금 안쓰럽다. ‘루저’가 ‘귀빈’이라고 우기는 꼴이랄까.


 이 역설이 그런데 팬들에게 재미를 주고 심지어 쾌감까지 선사한다. 만약 슈퍼미남 장동건이나 강동원이 ‘강남스타일’ 하며 정통과 우아함을 드러냈다면 호감은커녕 반감을 불렀을지 모른다. 속물적 B급 코드는 때로 대중음악의 파괴력을 웅변하며 그것은 일류 아닌 이류가, 주연이 아닌 조연이 제공하는 친화력이 기반이다.


열풍은 상당 부분 1996년 클론의 ‘꿍따리 샤바라’를 닮았고 세계적으로는 클론과 같은 해에 나이 든 두 스페인 아저씨가 춤추며 전한 ‘마카레나’의 열기를 연상시킨다. 두 곡도 고급스러운 분위기와는 인연이 없다. 하지만 ‘강남스타일’은 음악적 현상을 넘어 이제는 사회적 현상이며 지구촌 곳곳을 달구기 시작한 글로벌 현상으로 점프했다. 모처럼 세대와 지역을 망라한 진정한 가요대박이다.


가수 싸이의 뮤직비디오 '강남스타일'의 한 장면. (출처: 경향DB)


폭발적 인기를 얻는 이유로는 여러 가지가 거론된다. 중독성을 일으키는 전자음의 리듬 반복이 무아지경을 연출하는 음악적 매력이 먼저일 것이다. 흔히 트랜스(Trance)라고 일컫는 이러한 몽환적 분위기에다 노랫말은 23년 전 변진섭의 ‘희망사항’ 이래 가장 재미난 남녀 짝짓기 가사라는 말이 나온다. 당연히 입에 딱딱 달라붙는다. 거부할 수 없는 재미, 절로 따라 부르게 되는 흥은 대규모 음악현상의 기반이다. 따라 부르는 정도가 아니라 제목과 가사 일부를 바꿔 ‘태릉스타일’ ‘영등포스타일’ ‘뉴욕스타일’ ‘변태스타일’ 등 자기 식으로 만드는 변용(變用) 또한 무궁하기에 인기 확산은 필연적이다.


아이돌 댄스음악 하면 떠오르는 인위적인 홍보와 마케팅이 개입하지 않았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작위적인 인기몰이 없이 마치 바이러스처럼 입에서 입으로 퍼져 마침내 국제적으로 번진 자연적 현상이다. 여기서 진짜 한류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류 지평 확대의 전기를 마련했다는 분석은 ‘강남스타일’도 결국 댄스음악이라는 점에서 쉬 동의가 되지 않는다.


한류보다 더 주목해야 할 것은 메시지 측면이다. 사람들은 이 곡을 통해 잘난 사람들과 1등, 1%가 지배하는 불평등 세상, ‘쿨’과 품격을 압도적 우위에 놓는 서열사회에 대한 은근하고도 유쾌한 린치를 읽는다. 서민대중의 무망이 꼭짓점에 오른 2012년이라서 더욱 노래의 위안 기능은 상승한다. ‘강남스타일’은 확실히 ‘핫’하며 싸이는 낮은 위치에 주목하는 소셜테이너의 요소가 보인다. 그가 시사주간지 ‘타임’에 “뮤지션이 되지 않았더라면 난 십중팔구 루저가 돼 있을 것”이라고 한 말은 예사롭지 않다.


찰리 채플린의 말이 생각난다. “나는 오로지 단 하나, 단 하나의 존재로 남아 있으며, 그것은 바로 광대다. 광대라는 존재는 나를 그 어떤 정치인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올려놓는다.” 광대의 몸짓과 언어에 즐거움을 만끽하고 동시에 삶의 페이소스를 맛보듯이 우리는 ‘강남스타일’에 마구 춤추고 이어서 그 속에 도사린 조롱의 의미에 살짝 공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