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스. 멤버 전원이 최고의 테크니션이었던 예스는 심포닉 프로그레시브의 전형을 완성했다
사이키델릭 록의 시대의 록의 비약적 발전은 록 음악의 새로운 모습을 가능케 하였다. 그 새로운 모습이란 무엇이었을까?
물론 앞으로 얘기할 내용이지만 그 모습들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음악적 소란기에, 모든 것은 계속 증가되고 있었다. 단일 콘서트에 모여드는 관중의 수는 유례가 없던 수준까지 증가하였고, 음반 판매량도 물론 마찬가지였다. 뮤직 비즈니스는 이 시대의 새로운 음악에 대해, 대중이 이를 좋아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력을 아직 갖추지 못했고, 덕분에 레코드 레이블들이 취할 수 있던 전략은 최대한 많은 밴드들과 계약을 하고 시장의 반응을 보는 것이었다.
게다가 60년대 중반의 젊은이들 중심의 하위문화임이 분명했던 사이키델릭 록은 기존의 팝 음악에 대한 새로운 시도들로 점철된 것이었고, 그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는 거칠고 단순한 음악으로 시작되었던 로큰롤이 복잡하고 다차원적인(어떤 의미에서는 ‘더 예술적인’) 음악으로 변형될 수 있는 배경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사이키델릭 록의 특징 중 하나였던 장시간의 솔로 연주나 즉흥 연주 등과, 일렉트릭 사운드의 전면적인 사용, 새로운 믹싱 스타일 등은 기존의 ‘춤추기 좋았던’ 로큰롤이 아닌, ‘감상용’ 음악에 더 가까운 모습이기도 했고, 그에 따른 음악적 실험이 곧 시작될 수 있었다.
그 ‘예술적’ 음악의 대표격이라면, 사이키델릭 록 이후의 여러 음악들 중에서도 프로그레시브 록이 그에 해당될 것이다.
혹시 기억나는가? 영국의 사이키델릭 록을 얘기하면서 언급한 트래픽이나 핑크 플로이드 등은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라고 말하는 게 더 일반적이라고 했었는데, 적어도 프로그레시브 록이 장르로서 형성되던 시점은 그러한 사이키델릭 록과 무관하지 않았다(이유야 더 말할 필요도 없다고 본다).
특히나 비틀즈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의 클래시컬 구조를 더욱 직접적으로 발전시킨 무디 블루스(Moody Blues) - 물론 이들은 사실 팝 밴드로서 더 유명하다고 생각한다 - 나, 비틀즈의 유산에서 좀 더 프로그레시브 록의 방향으로 나아간 실험적 전자음악을 시도한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도 그렇고 - 플로이드의 “A Sauceful of Secrets” 앨범이 얼마나 표제음악의 전형에 다가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 , 적어도 키스 에머슨(Keith Emerson)도 나이스(The Nice) 시절, 적어도 그들의 데뷔작에서는 비틀즈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물론 비틀즈 등이 시도했던 것과 같이, 포크적인 요소도 이 새로운 장르에 블렌딩된 한 요소였다.
1969년부터 프로그레시브 록은 그 장르의 전형을 확립하기 시작한다. 기존에 존재했던 사이키델릭의 요소는 거의 사라졌고, 특히나 여러 밴드들 중에서도, 로버트 프립(Robert Fripp)이라는 천재를 중심으로 한 킹 크림슨(King Crimson)의 데뷔작이었던 “In the Court of Crimson King” (왼쪽 사진이 앨범 커버)은 아마도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들의 데뷔작 중에서 가장 영향력 큰 앨범이라고 해도 과장이 아닐 것이다. 다른 밴드들의 데뷔작과는 달리 이미 거의 이 장르가 성숙하였음을 보여준 이 앨범은 장르에서 손꼽히는 명작으로 회자되고 있고(킹 크림슨은 이후 계속 스타일을 변화시키면서 명작들 - 그래서 "Red" 같은 앨범이 실상 밴드의 최고 명작이라고도 하지만 - 을 내놓고는 있지만) ‘Epitaph’ 같이 상대적으로 팝적인 곡은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위 앨범의 첫 수록곡인 '21st Century Schiziod Man'.
아마 대부분에게는 칸예 웨스트(Kanye West)의 샘플링으로 유명할 것이다
예스(Yes)나 제네시스(Genesis), 반 더 그라프 제너레이터(Van der Graf Generator - 이하 VDGG) 등이 역시 1969년에 데뷔작을 내놓았다. 이들은 육중한 포크풍의 기타 연주에 키보드를 이용한 심포닉의 구현, 급전직하의 리듬워크, 복잡하게 짜여진 코러스 등을 이용, 소위 ‘심포닉 프로그레시브 록’ 스타일을 구축하였고, 예스가 “Close to the Edge” 등의 앨범에서 이런 스타일을 더욱 발전시켜 나갔다면 제네시스는 정교한 컨셉트와 연극적인 요소의 음악적 차용으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고, 피터 가브리엘(Peter Gabriel)의 탈퇴 이후에는 이전보다 팝적인 음악을 연주하는 밴드로 변모하였다.
VDGG는 피터 해밀(Peter Hammill)의 음유시인적인 보컬과는 상반되도록 - 사실 가사는 참 황량한 내용이다만 -, 그보다는 좀 더 어두운 측면에 주목하여, 비르투오소적이었던 리듬 파트와 고딕적이라고까지 평가되었던 오르간 연주 등을 이용해 매우 개성적인 스타일(이 정도면 거의 초장르적 크로스오버라고 해야)을 구축하였다. 거대한 곡구조와 난해한 사운드 덕에 큰 대중적 반향을 얻어내지는 못했지만, (오른쪽 사진만 봐도. 맨 위의 예스의 라이브와는 분위기가 많이 틀리다....) 이들의 "Pawn Hearts", "H to He Who Am The Only One" 같은 앨범은 이들 특유의 유럽적인 프로그레시브 록의 정수로 꼽힌다.
Yes - Roundabout
젠틀 자이언트(Gentle Giant)는 쿨재즈와 르네상스 음악의 요소를 극도로 복잡한 연주의 심포닉 프로그레시브 록에 가미하여 독창적 스타일을 보여준 밴드였다. 덕분에 이들의 음악은 중세풍의 낭만성을 풍부하게 가지면서도 특유의 유머를 보여주고 있었고, 제네시스나 킹 크림슨의 초기 음악과 많이 비교되기도 하며, “Octopus” 나 “In a Glass House” 같은 앨범이 이 ‘젠틀 자이언트 스타일’ 을 정립한 것으로 손꼽히고 있다(사실 이들의 경우는 정말 버릴 앨범이 없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다만)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Emerson, Lake and Palmer - 이하 ELP)와 제스로 툴(Jethro Tull)은 위의 밴드들과는 좀 다른 스타일을 보인다. 밴드를 주도한 것은 나이스 출신의 키스 에머슨이었지만, ELP의 음악은 나이스와는 많이 틀린 것이었다.(일단 그렉 레이크(Greg Lake - 이 분도 킹 크림슨 출신)의 낭랑한 보컬 등을 나이스에서는 생각하기도 어렵다)
또한 ELP가 심포닉 프로그레시브의 대표적인 밴드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예스풍의 심포닉과는 달리 ELP는 최고의 테크니션이었던 키보디스트 키스 에머슨(좌측 사진)의 광대한 스케일의 무그 신서사이저 연주가 이를 대체하였고, 극도의 비르투오시티와 클래시컬함이(사실 이들만큼 클래시컬하기도 힘들 것이다. 이들은 아예 많은 클래식 곡을 록으로 연주하였다) 결합된 음악을 들려주었다. 아래의 'Karn Evil 9' 에서 확인해 보자.
Emerson. Lake and Palmer - Karn Evil 9(1st Impression). 이 곡은 크게 3개의 Impress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첫 부분
제스로 툴의 사운드는 위의 밴드들과도 또 틀리다. 사실 이들의 경우 1989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무려 메탈리카(Metallica)를 누르고 헤비메탈 부문 상을 수상하기도 한 덕에 프로그레시브의 팬이 아닌 이들에게도 유명해진 편인데, 영국 포크와 리듬 앤 블루스, 클래식의 고도의 절충적인 사운드에, 이들을 상징하는 모습이기도 한 이언 앤더슨(Ian Anderson)의 플룻은 다른 밴드들과는 구별되는 이들의 개성을 형성해 주었다.
'대중음악 블라블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리티쉬 하드 록 : 레드 제플린, 딥 퍼플 (0) | 2011.01.10 |
---|---|
프로그레시브 록의 등장(2) (0) | 2011.01.03 |
록 페스티벌, 그리고 슈퍼스타의 등장 (0) | 2010.12.20 |
영국의 사이키델리아 (0) | 2010.12.10 |
새로운 반문화, 사이키델릭 록의 등장(3) (0) | 201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