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혹성탈출,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본문 바로가기

시네마 블라블라

[세상읽기]혹성탈출,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약 600만년 전 원숭이 한 마리가 두 마리 돌연변이 새끼를 낳는다. 하나는 원시인류의 조상이 되고, 다른 하나는 침팬지의 조상이 된다. 이후 진화의 스토리는 우리가 익히 아는 바다. 인류는 직립보행, 커다란 뇌, 불의 이용, 도구의 발명, 사회적 협력을 바탕으로 오스트랄로피테쿠스-호모에렉투스-호모사피엔스로 진화하면서 지구의 최상위 포식자가 된다. 반면 호모사피엔스와 단지 2%의 유전자 차이만을 갖고 있는 침팬지는 오늘날 자신의 ‘사촌형제’가 만든 동물원에 갇혀서 관람객들이 던져주는 과자 부스러기를 받아먹는 하찮은 구경거리 신세로 전락했다.

 

그리고 여기 이 기구한 진화의 스토리, ‘아벨과 카인’의 비극을 흥미롭게 비트는 영화 시리즈가 있다. <패튼대전차군단>(1970), <빠삐용>(1973) 등을 만든 거장 프랭클린 샤프너는 1968년 원작 영화 <혹성탈출>에서 충격적 반전을 통해 인간이 원숭이의 지배를 받게 되는 지구의 냉혹한 미래를 보여준다. 1975년까지 이어지는 다섯 편의 오리지널 <혹성탈출> 시리즈는 인간이 지구의 지배자가 된 진화의 역사적 진실을 침팬지의 입장에서 완전히 뒤집는다. 원숭이는 생물 진화의 정점에 오르고, 인간은 원숭이의 노예가 된다.

 

영화 <혹성탈출: 종의 전쟁> 스틸 이미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2011년 시작된 <혹성탈출> 프리퀄 시리즈는 호모사피엔스의 몰락과 유인원의 진화가 필연적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본격적으로 조명한다. 호모사피엔스는 ‘시미안 플루’라는 치명적 바이러스 때문에 종의 몰락으로 나아가고, 침팬지는 새롭게 진화한다. 인류는 언어능력을 상실하고, 침팬지는 말을 하면서 자신만의 사회와 문명을 발달시킨다. 영화 속에서 인류의 몰락과 유인원의 진화가 언어능력으로부터 비롯된다는 점은 상징적이다. 진화의 역사에서 인간의 언어는 추상적 사고와 대규모 사회적 협력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이다. 영화는 인류와 유인원의 뒤집힌 운명을 거울처럼 보여준다. 오늘날 호모사피엔스는 ‘타자’에 대한 공감과 공존의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동물, 인종, 민족, 성별, 사회적 지위에 따른 차별과 배제야말로 인간 멸종의 진정한 원인이다.

 

무엇보다도 영화 <혹성탈출> 시리즈는 지구상에서 우리 인류, 호모사피엔스의 진화적 번영과 미래가 계속될 수 없을 것이라는 합리적 의심을 제기한다. 그것이 ‘합리적’인 이유는, 과학기술문명이 초래하고 있는 치명적 위험들 때문이다. 냉전이 한창이던 1970년에 만들어진 <혹성탈출2-지하도시의 음모>에서는 핵폭탄에 의해 지구가 멸망하는 묵시록적 이야기가 펼쳐진다. 2000년대 <혹성탈출> 시리즈에서 알츠하이머 치료제는 인간 멸종의 치명적 바이러스로 변이된다. 유발 하라리가 <호모데우스>에서 지적했듯이, 오늘날 생명공학과 유전자 조작의 시대에 질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하려는 지극히 인간적인 시도는 역설적으로 인간 종 자체의 몰락을 재촉하는 새로운 형태의 위험으로 바뀔 수 있다.

 

더불어 영화가 경고하는 강력한 메시지는 인류가 동물과의 평화로운 공존에 성공하지 못할 때 결국 지구 생태계 속에서 인류의 멸종은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봉준호 감독의 블랙유머 풍자극 <옥자>에서 날카롭게 간파되었듯이, 인간의 배타적 생존을 목적으로 하는 기계제 대량생산 시스템은 동물과 가축을 철저히 대상화하고 타자화한다. 프리퀄 3부작 마지막 편 <혹성탈출-종의 전쟁>(2017)에서 우디 해럴슨이 연기한 대령은 인류의 생존을 명목으로 바이러스에 걸린 자신의 아들마저 죽인다. 대령은 결국 침팬지와의 전면적인 전쟁을 선택함으로써 인류의 몰락을 재촉한다.

 

하지만 영화는 마지막 희망의 메시지만은 남겨둔다. 유인원과 공감하고자 하는 소녀 노바는 인류의 미래와 희망을 상징한다. 디지털 퍼포먼스캡처 기술이 현실의 인간 앤디 서키스와 영화 속 침팬지 시저 사이의 경계를 허물었듯이, 캐나다의 하얀 설원 위에 피어난 노바의 분홍꽃은 마지막 공존의 메시지다. 결국 호모사피엔스의 미래는 노바로 상징되는 ‘여성과 아이’에게 달려있다. 편협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지구 생태계 속에 만물이 공존하는 새로운 세계관으로 나아가야 한다. 개발과 경쟁, 전쟁과 지배의 가치관을 버리고, 공감과 배려, 평화와 공존의 시대로 가는 것만이 인류의 운명을 구원한다.

 

<정헌 | 중부대 교수·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