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기생충’은 알레고리 영화다
본문 바로가기

시네마 블라블라

[세상읽기]‘기생충’은 알레고리 영화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계층의 알레고리를 그린 영화이다. 마치 오래된 우화 같다. 이 영화는 분명 계급 적대를 함축하고 있지만, 그것을 직설적으로 드러내지는 않는다.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이분법적인 적대는 이 영화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 영화는 감각의 알레고리를 통해 그 계급적 적대를 희화화하기 때문이다. 


<설국열차>는 계급의 적대가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그 영화는 알레고리적 영화라기보다는 상징의 영화이다. <설국열차>는 이동 중인 열차 안에서 벌어지는 계급의 적대를 명확하게 구획된 객실의 머리 칸과 꼬리 칸의 공간으로 표현했다. 


배우 송강호, 최우식이 출연한 영화 '기생충'의 한 장면


반면 <기생충>은 고정된 집에서 벌어지는 계층의 욕망을 지상과 지하라는 공간으로 표현했다. 전자가 상징적 표현이라면 후자는 알레고리적 표현이다. 


그렇다면 은유와 알레고리의 차이는 무엇일까? 


기차의 칸막이 공간은 계급의 적대를 구획하는 실체적 이미지를 가진다. 열차의 머리 칸과 꼬리 칸은 계급적 적대를 명시하는 상징의 공간이다. 반면 <기생충>에서 집의 지상과 지하는 완벽한 차단 막이라기보다는 스며들고, 삼투하고, 녹아내리는 공간이다. 집의 위와 아래의 공간은 생각보다 견고하지 않으며, 통제가 느슨하고 상황에 따라 올라갔다 내려갈 수 있다. <기생충>의 기택 가족이 살고 있는 반지하도 소독약이 스며들고, 물이 스며들고, 와이파이가 스며든다. 열차의 머리 칸과 꼬리 칸은 전복과 배제를 위한 살벌한 투쟁의 상징적 장소로 풀어냈다면, 특히 동익네 대저택의 지상과 지하는 스며듦과 얽힘의 혹은 불안한 공존의 우울한 상태를 우화적으로 풀어냈다. 그래서 <기생충>은 <설국열차>와 유사하기보다는 차라리 <살인의 추억>과 유사하다. 


그런데 알레고리로서 <기생충>이 돋보이는 점은 알레고리적 장치를 공간으로만 표현하지 않고, 감각으로도 표현했다는 점이다. 바로 ‘냄새’라는 감각이다. 냄새는 지상과 지하라는 공간적 알레고리 못지않게 이 영화에서 아주 중요한 알레고리이다. 동익의 가족들은 지속적으로 기택 가족의 냄새를 말한다. 동익의 아들 다송은 위장 취업한 기택, 기정, 충숙의 옷과 몸에서 같은 냄새가 난다고 말한다. 동익은 운전기사인 기택을 평하며 고용된 기사로서 선을 넘을 듯 말 듯 하는 기택의 행동을 주시하다가도, 차 뒷자리로 넘어오는 퀴퀴한 냄새를 못마땅해한다. 동익의 아내 연교도 기택의 몸에서 나는 냄새 때문에 코를 막는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이 집의 오래된 가정부 문광의 남편인 근세의 쓰러진 몸 아래 깔린 자동차 열쇠를 빼낼 때에도 냄새는 스멀거리며 올라와 가진 자들에게 혐오의 감각이 된다. 


냄새는 계급, 인종, 지역, 장애의 차별과 혐오를 드러내는 최종심급에서의 감각이다. 다른 것은 지울 수 있어도 냄새만큼은 지울 수 없다. 냄새는 스며들고, 경계를 무디게 하지만, 역설적으로 차별을 결정하는 최후의 감각이다. 이것이 이 영화가 말하는 감각의 알레고리이다. 발터 베냐민은 독일 바로크 시대의 비애극에서 발견했던 우울함과 무상성을 알레고리의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베냐민에게 있어 알레고리는 “사물들의 무상성에 대한 통찰”이다. 그것은 “건설과 파괴, 희망과 슬픔, 미몽과 각성, 실재와 허구 사이의 긴장을 분절해 낸다”. 베냐민은 19세기 파리에 등장한 아케이드가 화려하지만, 언제든지 사라질지 모른다는 우울함과 무상함을 알레고리로 표현했다. 


지상과 지하공간의 스며듦의 시간들, 그래서 잠시 저들의 욕망을 대체할 수 있을 거라는 착각에 빠졌던 기택 가족의 비극, 그 비극의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아들 기우의 허망한 바람, 그리고 냄새는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구별 짓는 감각 안에서 상상될 것이라는 것은 놀랍게도 우리의 현실이다. 그 현실이 우습기도 하고 슬프기도 한 것, 이것이 영화 <기생충>의 감각의 알레고리이다.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