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삶]광장에서 듣고픈 노래
본문 바로가기

대중음악 블라블라

[문화와 삶]광장에서 듣고픈 노래

음악인들에겐 공통점이 있다. 대부분 낮밤을 바꿔 산다. 직장인들이 한창 일하고 있을 오전 11시가 그들에겐 새벽이다. 얼마 전 낮 12시에 결혼한 어떤 음악인은 결혼식 전날 단체 문자를 돌렸다. ‘제발 늦게까지 술 마시지 말고 하루만 일찍 일어나주세요.’ 또 하나의 공통점은 잘 뭉치지 못한다는 거다. 영화나 드라마는 스태프 수십명이 동시에 움직이는 단체 작업인 반면 음악은 개인 또는 소수의 작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에 생겨난 습성일 거다. 그렇게 개별적인, 밤의 삶을 사는 음악인들이 지난 8일 오전 11시, 광화문 광장에 나타났다. 이 자리에 모인 음악인 50여명은 ‘음악인 시국선언’을 읽어나갔다. 선언에 동참한 이들은 약 2500여명. 현대사의 길목마다 많은 시국선언이 있었지만 ‘음악인’의 이름을 전면에 내세운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음악인들의 첫 단체 행동은 지난 2012년 6월 음원 요율 현실화 등을 요구하며 열었던 집회였는데 그때는 ‘음악인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서였다면, 이번에는 ‘시민으로서의 양심’을 내세웠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실제 SNS상에서 음악인들은 정치·사회적인 면에서는 보통 침묵을 지켜왔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불꽃이 튀던 무렵부터 평소에 아무 말도 하지 않던, 사석에서조차 정치적 의견을 드러내지 않던 이들마저 공개적으로 분노를 표현하기 시작한 것이다. 절대 움직일 것 같지 않던 직업군의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로서는 새벽 시간에 나서게 하는 시국. 지금 이 나라가 딱 그 모양이다.

 

8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는 음악인 2천여명 이상이 동참한 '민주공화국 부활을 위한 음악인 시국선언'에 참여한 음악인들이 공연과 함께 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있다. 음악인들은 이 선언문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즉시 대통령직을 그만두고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하며, 박근혜 최순실 게이트의 실상을 밝히고 관련 세력 전원을 엄중 처벌할 것"을 요구했다. 김기남 기자

 

하지만 나는 두렵다. 이렇게 많은 분노와 행동의 결과가 허무로 끝날까봐서다. 2008년을 기억한다. 그 해 5월26일 새벽 5시 즈음, 광화문 우체국 앞에 있었다. 타오르기 시작한 촛불에 머릿수라도 보태려 집회에 참석했다가 연행당했다. 48시간을 경찰서 유치장에 갇혀 있었다. 덕분에 신문 1면에 이름을 올리는 영예(?)를 누리기도 했다. 풀려난 다음에도 꼬박꼬박 집회에 나갔다. 일상의 모든 에너지가 그쪽에 쏠린 탓에 글쟁이 생활 10여년 만에 처음으로 마감을 펑크내는 민폐를 끼치기도 했다. 평론가라는 직함을 잠시 내려놓고 시민이란 임시직으로 잠시 살았다.

 

출근하다시피 했던 광장에 발을 끊게 된 건 광화문에 ‘명박산성’이 세워진 날이었다. 산성 바깥의 사람들은 스티로폼으로 세운 연단에 올라 성벽을 넘어갈 것이냐 말 것이냐를 놓고 답이 없는 토론을 벌였다. 말이 좋아 토론이지, 어느 순간부터 서로를 비방하기 바빴다. 그 순간 딱 떠오른 한 단어. “텄네.” 나만의 생각은 아니었는지, 그 이후 촛불은 잦아들었다. 그리고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순식간 과거가 됐다. 대운하는 4대강으로 이름을 바꿔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이명박의 뒤를 박근혜가 이었다. 이명박근혜 정권이 9년간 지속되는 동안 분노할 일은 수없이 많았지만 광장에 나가지 않았다. 아니, 못했다. 그때의 그 허무를 똑같이 느낄까봐서였다. 분노의 끝에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를, 지침이 두려워서였다.

 

이제 와서 생각한다. 그때 그 분노의 에너지에 즐거움이 더해졌다면 어땠을까. 깃발과 구호에 음악과 언어가 더해졌으면 어땠을까 하고 말이다. 나를, 우리를 지치게 했던 건 단지 ‘청와대로 가서 대통령을 불러내지 못하는 것’만은 아니었던 것 같다. 일상으로부터 한참이나 유리된 언어와 노래들이었던 것 같다. 스피커에서 울려 퍼지는, 낯선 민중가요들을 듣는 것도 한 두 번이다. 1990년대에서 거의 발전하지 못한 어투와 억양도 구태의연하다. 그 노래와 언어들이 절박한 투쟁 현장에서 나올 수밖에 없던 산물임을 감안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이해란 지속되기 힘든 법이다. 그래서 시국 선언에 동참한, 광장으로 나선 음악인들에게 제안하고 싶다. 앞으로 이어질 집회의 문화를 바꿔 달라고. 민중의 음악도 좋지만 대중의 음악도 광장엔 필요하다. 굳이 대형 음향장비도 필요 없다. 시민들의 곁에서 통기타 한 대 들고, 퍼커션 하나 두드리며 노래해도 좋다. 음악은 영감의 산물이고, 이 ‘혼이 비정상’인 상황은 음악인에게는 절호의 영감거리 아닌가. 그 영감의 소산을 광장의 구석구석에서 들을 수 있었으면 한다. 이미 적지 않은 음악인들이 박근혜 하야를 내걸고 곡을 발표하고 있다. 앞으로의 광장이 그런 노래들의 페스티벌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보수와 진보가 대동단결하는 초유의 시기, ‘민중’과 ‘대중’도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김작가 대중음악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