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초 영국 록음악, 이른바 브리티시 록의 성지가 된 곳은 다름 아닌 리버풀이었다. 영국의 대표적인 항구도시 리버풀은 뉴욕, 샌프란시스코, 함부르크, 상하이가 그렇듯 새로운 유행을 가장 먼저 받아들이고 전파하는 문화 예술의 해방구 역할을 했다. 리버풀 출신 폴 매카트니, 존 레넌, 조지 해리슨, 링고스타가 1962년에 결성한 ‘비틀스’는 영국은 물론 유럽과 북미에 ‘비틀마니아’ 신드롬을 일으키며 리버풀을 일약 세계적인 대중음악도시로 만들었다. 비틀스와 함께 한 시대를 풍미했던 록밴드 ‘롤링 스톤스’ ‘애니멀스’가 가세해 언제부턴가 이들의 새로운 밴드음악을 리버풀 사운드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리고 1980년대 말에서 90년대 초반 리버풀 근처의 맨체스터에는 이전의 록음악과는 다른 스타일을 추구하는 밴드들이 모여들었다. 이들은 하드록과 일렉트로닉을 결합한 ‘애시드 하우스’라는 장르를 탄생시켰다. 언더그라운드 클럽음악을 지향하는 ‘애시드 하우스’는 70년대의 하드록과 90년대의 브릿팝을 연결하는 중요한 음악 스타일로 ‘스톤 로지스’ ‘더 스미스’ ‘뉴 오더’ 같은 밴드가 중심이 됐다. 사람들은 이 음악적 스타일을 맨체스터 사운드라고 불렀다.
도시와 음악 스타일을 접목하는 사례들은 이 밖에도 많다. 예컨대 ‘앨리스 인 체인’ ‘너바나’ 등이 주축이 돼 얼터너티브록 신을 선언했던 시애틀 사운드, ‘닐 앤 이라이자’ ‘판타스틱 플라스틱 머신’과 같은 밴드가 중심이 돼 레게, 보사노바, 라운지, 일렉트로닉이 혼합된 일본식 클럽음악을 완성시킨 시부야 사운드,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으로 라틴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한 아바나 사운드, 그리고 ‘크라잉 넛’ ‘노브레인’을 탄생시킨 한국 인디음악의 해방구 홍대 사운드가 대표적이다.
음악은 도시를 기반으로 발전한다. 클래식, 재즈, 록, 힙합 등 모든 음악 장르들은 도시에서 태어나 도시에서 성장한다. 그래서 2016년 봄에 한국 대중음악의 새로운 기원을 만들고자 창동 사운드를 꿈꾸는 것은 허무맹랑한 상상이 아니다. 서울 동북권에 위치한 창동은 음악의 불모지다. 대중음악과 관련해선 거의 황무지와 같은 이곳에 창동 사운드를 운운하는 것은 이전에는 상상하기 힘든 일이었다. 그런데 박원순 서울시장이 작년 2월 초에 일본 사이타마 슈퍼아레나에서 창동에 2만석 규모의 국내 최초 대중음악 전용 공연장을 건립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창동은 이제 새로운 대중음악 거점 공간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가칭 서울아레나는 지금의 창동 체육시설 부지에 2020년 건립될 예정이다. 민간투자자가 작년 말에 사업제안서를 제출했고, 현재 공공기관으로부터 타당성 심사를 받고 있는 중이다. 서울시는 서울아레나의 붐업 사업으로 창동역 주변에 ‘플랫폼창동61’을 조성해 음악, 푸드, 라이프스타일이 결합된 문화공간을 4월 말에 개관할 예정이다. 중요한 것은 이 플랫폼창동61 공간에 개성이 강한 장르음악 뮤지션들이 입주할 예정이라는 점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기타리스트 신대철이 음악감독으로 참여하고, ‘잠비나이’ ‘숨’ ‘아시안 체어샷’ ‘엠씨 메타’ 등 스튜디오 입주 밴드와 ‘갤럭시 익스프레스’ ‘킹스턴 루디스카’ ‘클렌체크’ ‘이디오테잎’ ‘앙상블 시나위’ 등이 협력 뮤지션으로, 그리고 ‘루비 레코드’ ‘사운드 홀릭’ ‘러브락 컴퍼니’ 등이 협력 레이블로 참여한다.
4월 말 개관 기념공연을 시작으로 록, 국악, 라틴, 일렉트로닉, 힙합 등 장르음악을 중심으로 한 페스티벌, 입주 뮤지션들과 협력뮤지션, 협력 레이블이 펼치는 콘서트, 그리고 ‘시나위 앤 래그타임’이란 이름의 즉흥 음악 이벤트 등이 플랫폼창동61 내에 컨테이너로 만든 클럽 공연장, ‘레드박스’에서 열린다. 음악의 불모지 창동은 개성이 강한 장르음악이 만개하는 새로운 음악 신을 탄생시킬 것이고, 곧이어 창동 사운드라는 칭호를 받을 것이다. 물론 창동 사운드는 대형 공연장 조성만으로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뮤지션들과 기획자의 헌신과 내실 있는 창작 역량에 달려 있다.
홍대 사운드는 살벌한 홍대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인디음악의 정체성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밴드 음악 라이브 클럽도 줄고, 관객들의 발길도 뜸하다. 여전히 수백개 팀의 인디밴드들이 모여 있지만, 음악적 판도를 바꿀 만한 대안적 사운드가 생산되지 못하고 있다. 한때 홍대 사운드의 상업화에 맞서 관악 사운드라는 이름이 불린 적이 있지만, 곧 자취를 감췄다. 홍대 사운드의 대안으로 창동 사운드가 성공할지는 아직 모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지금이 새로운 음악적 사운드를 위한 장소 실험이 필요하고, 새로운 대안적 장르음악을 추구하는 창동 사운드는 그러한 실험을 위한 대안적인 실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총괄 예술감독으로서 적어도 10년 후에는 창동 사운드가 자연스러운 이름이 되길 꿈꿔본다.
이동연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대중음악 블라블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와 삶]끝의 시작 (0) | 2016.10.14 |
---|---|
[문화와 삶]초대권과 음악 선물 (0) | 2016.10.06 |
[문화비평] ‘예술검열’에 침묵하는 국악계 (0) | 2015.12.08 |
음원 사재기의 실체적 진실 (0) | 2015.10.13 |
[여적]‘토토가’와 추억여행 (0) | 201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