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시 뮤직(Roxy Music)의 2001년 부틀랙 "This is Roxy Music" 의 아트워크.
글램 밴드로서 록시 뮤직은 퇴폐적이고 양성적 이미지를 이용했다.
그러나, 이런 이들 외에 소위 본격적인 글램 뮤지션은 아니지만, 앞서 말했듯이 글램이라는 명칭에서는 상당히 다양한 음악적 면모가 포함될 수 있고, 실제로 음악 커리어에서 글램이라고 불렸던 기간이 있었던 뮤지션들도 분명 존재했다. 말하자면, 글램이 하나의 스타일이었다면, 그 스타일이 그가 음악 활동 내내 견지했던 것은 아니었던 경우가 있었다는 것이다. 사실, 글램은 앞에서 얘기했듯이 뮤지션들의 ‘외관’ 을 근거로 붙여진 명칭이었던 탓에, 이후의 음악 장르에 대해(특히 팝 메틀, 뉴 웨이브의 경우) 어느 정도 비하적인 의미로 붙여지기도 했다. 말하자면 팝 메틀 밴드들이 ‘푸들 밴드’ 식으로 불리는 것과, 이들을 글램 밴드라고 부르는 것은 그 의미는 크게 틀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명칭의 경멸적 의미는 뮤지션에게는 사실 부당할 정도로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의 하나는 아마 퀸(Queen)일 것이다. 퀸이야 사실 앨범이 워낙 많다 보니 글램 밴드로서의 이미지도 많이 약해지고, 음악적으로도 인정받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들의 데뷔작이었던 1973년작 “Queen” 은 화려한 스테이지와 멤버들의 외모 덕분에 글램 록 작품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퀸의 경우 “Queen”부터 “Sheer Heart Attack” 앨범까지는 기타 위주의 하드 록을 들려주고, 아무래도 메탈리카(Metallica)가 커버했던 ‘Stone Cold Crazy’ 같은 곡이 이 시기 퀸이 현재 밴드에 대한 일반적인 이미지 - 화려하고 부드러운. 뭐 꼭 틀린 건 아니지만 - 와는 좀 틀린 모습이었음을 보여 줄 것이다.
다만 퀸의 경우는 일반적인 하드 록 밴드보다 다채로운 화성과 유려한 멜로디를 가지고 있었고, 보컬인 프레디 머큐리(Freddy Mercury)의 넓은 음역의 보컬은 이들의 음악의 화려함의 전면에 나서는 것이었으며, 아무래도 밴드가 80년대에도 여러 가지 스타일들을 받아들이면서 차트에서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이런 면모 덕분이었을 것이다. 이를테면 데이빗 보위와의 공작이었던 ‘Under Pressure’(“Hot Space” 앨범. 보통 뉴 웨이브와의 접목이라고 평가되는) 나, 아예 영화 사운드트랙이었던 “Flash Gordon” 앨범 등이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얘기지만, 브라이언 메이(Brian May)는 여러 밴드들 - 헤비 메틀도 포함하는 - 에 게스트로 자주 참여하기도 했는데, 밴드의 음악적 중추였던 브라이언임을 생각한다면 그런 다양한 면모는 이들의 경우에 당연한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Queen - Stone Cold Crazy(live). 이런 노래도 있으신 분들이다
이 곡의 메탈리카의 커버. "Garage Inc." 앨범에서 들을 수 있다
그래도 제일 유명한 건 이런 곡이다. Queen - Bohemian Rhapsody
퀸이 초기에 하드 록과 글램 록 사이에 있는 밴드였다면, 록시 뮤직(Roxy Music)은 (오늘날의 분류로)프로그레시브 록과 글램 록 사이에 있는 밴드일 것이다. 물론 일반적인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들과는 달리, 이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상업성을 추구한 밴드였다. 밴드 이름의 ‘록시’ 는 밴드가 일관하던 퇴폐적이며 양성적인 분위기에 맞추어 의도된 것이었고(요새 듣는다면 그냥 느끼한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는데), 이는 명백히 글램 록 스타일과 일관되는 것이었다.
(덕분에 미국에서는 참 인기가 없었다. “For Your Pleasure” 는 영국에서는 차트 4위까지 올랐지만, 미국에서는 2백위에 턱걸이하는 수준이었다)
그렇다면 왜 이런 이들이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도 분류되는가? 이유는 사실 별 거 없다. 이 밴드를 거친 멤버들 중 걸출한 프로그레시브 록 뮤지션들이 다수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은 밴드의 프로그레시브적인 색채의 주축이었던 브라이언 이노(Brian Eno)와 필 만자네라(Phil Manzanera), 에디 잡슨(Eddie Jobson) 정도가 있을 것이다.
(사진은 록시 뮤직의 앨범 "Siren" 의 커버. 커버의 여성은 제리 홀(Jerry Hall)로, 브라이언 페리의 연인이었다. 뒤에 믹 재거와 눈 맞아서 도망갔으나, 재거도 다시 버림받으니, 여러 남자 홀리고(?) 다녔다는 점에서는 사이렌과 비슷할지도)
어쨌든, 이런 인물들이 거쳐 갔던 밴드지만 사실상 밴드는 브라이언 페리(Brian Ferry)가 주도했다. 브라이언 이노 등이 새로운 사운드에 혈안이 되어 있던 청년이라면, 페리는 좀 더 전통적인 취향의 로큰롤 애호가였다. 그래서 브라이언 이노가 밴드에 있었던 “For Your Pleasure” 까지의 음악도 사실 프로그레시브의 영향은 크지 않다.
다만 이 앨범의 b-side 부분에서의 브라이언 이노의 연주는 확실히 프로그레시브의 그것이고, 이후 “Country Life” “Siren” 앨범에서는 에디 잡슨과 필 만자네라의 프로그레시브 록과, 브라이언 페리의 로큰롤을 교차하는 사운드를 들려주게 된다.
(말하자면 이노는 벨벳 언더그라운드에서 루 리드와 대립하던, 존 케일 같은 인물이었던 셈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루 리드도 글램 록을 시도한 바 있다)
Roxy Music - Prairie Rose. 왜 이들이 글램으로 불렸는지를 알려 주는 곡이다
Roxy Music - Love is the Drug
그렇다면 이러한 글램은 무슨 의미가 있었을까? 평론가 톰 카슨(Tom Carson)은 이에 대해, “반항을 엔터테인먼트화하고, 엔터테인먼트도 전복적일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고 평한 바 있다. 말하자면 이미 얘기한 록의 진정성에 대한 얘기가 사실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냉소적인 비판이었다는 것이고, 또한 이들은 기존의 섹슈얼리티의 왜곡과 모호한 성별의 이미지를 구축하기도 했다. 데이빗 보위는 물론이고, 록시 뮤직이 앨범 커버들에서 보여준 퇴폐적이고 양성적인 이미지를 생각해 보라. 이렇게 되면 사회적으로 주어진 성적 역할조차 사실은 일종의 ‘스타일’ 일 수 있다는 주장이 되는 셈이다.
물론 이들은 스스로 상업적인 ‘팝’ 임을 잘 알고 있었고, 그 점을 부인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덕분에 이들의 문제제기는 그 뮤지션 본인의 자의식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었다는 것이 중론인 듯하고, 글램 록을 반문화로서의 록 음악에 반발하는 일종의 해프닝 정도로 치부할 수는 없겠지만, 그런 움직임은 반문화로서의 록 음악의 모습이 허물어져 갔던 것처럼 생각보다 쉽게 허물어진 셈이다. 반항적 록 음악이나 글램 록이나 결국은 록 뮤직 비즈니스를 벗어나진 못했다.
'대중음악 블라블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펑크의 등장 (2) - 뉴욕 언더그라운드 (0) | 2011.01.12 |
---|---|
펑크의 등장 (1) - 이른 시작, 70년대 미국의 프로토-펑크 (0) | 2011.01.12 |
글램 록, 록의 또 다른 자아의 모습 (1) (0) | 2011.01.12 |
블랙 새버스, 그리고 헤비메틀의 등장 (0) | 2011.01.11 |
둘만 남았지만 ‘신기’는 계속된다 (0) | 2011.01.11 |